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모르면 못받습니다 ❌" 아는 사람만 받을 수 있는 자동차 혜택 모아보기

by 이시순 2022. 12. 6.

내 차가 저공해 차량인지 아닌지 혹시 알고 계신가요? 차를 가지고 있더라도 대부분 운전자가 모르고 있고 지금까지 혜택을 받지 못하는 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저도 차를 운행을 하고 있지만 사실 한달전까지만 해도 이런 좋은제도가 있는지 조차도 모르고 있었습니다. 세금감면도 받고 지금까지 몇 년동안 내가 낸 돈들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공해 차량에 어떤 혜택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운전자 대부분이 모르고 있는 저공해 차량 혜택

저공해 차량 1~3종

저공해 차량은 1종, 2종, 3종 이렇게 세 개의 종류로 나눠져 있습니다.

  • 1종: 전기차, 수소차, 태양광차
  • 2종: 하이브리드, 가솔린, 휘발유 차 중 배출허용기준에 충족되는 차량
  • 3종: 가솔린, 디젤, 가스차 중 2종 기준에 초과되지만 환경부령 기준에 맞는 차량

이렇게 구분되어 있는데요, 그래도 잘 모르겠다 하시는 분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차량 번호만 알면 손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아니면 즉시 차량에서 자동차 앞쪽 보닛을 열어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뒤에서 두 번째 숫자를 보고 저공해 자동차인지 아닌지 알 수 있습니다.

혹시 숫자 '4'가 있다면 애석하게도 저공해 차량이 아닙니다.

저공해 자동차 혜택

저공해 자동차에게 정부는 많은 혜택을 주고 있는데요. 

 

1. 주차 할인

  • 전국 공영주차장 50% 할인
  • 인천국제공항, 김포공항, 제주공항 및 15개 공항 주차장 50% 할인
  • 1일 1회 3시간에 한해서 지하철 환승주차장 80% 할인

 

 

2. 통행료 면제

  • 남산 1호, 3호 터널 혼잡 통행료 1종,2종 전액 면제되며 3종은 50% 할인

 

3. 환경개선부담금 전액 면제

 

4. 전기차의 경우 보조금 지급, 하이브리드 차량은 취·등록세 감면

 

스티커 신청하는 방법

저공해 차량 여부를 확인했으면 매번 지나갈 때마다 서류를 보여줄 수 없으니 저공해 차량 표시 스티커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신청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요.

 

 

등록할 차량의 등록증과 본인 신분증을 지참해서 차량 관할 구청 환경과 또는 차량등록사업소를 방문하여 등록증과 신분증과 차량등록사업소에 비치되어 있는 '저공해자동차 증명서'를 작성한 뒤, 접수 및 신청하면 현장에서 스티커가 발급됩니다. 

 

 중요! 구청 환경과에서 스티커 발부는 관할 구역이 '서울'에서만 가능합니다! 수도권이나 지방에 사시는 분들은 차량등록사업소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본인이 가기 어려울 경우에 대리인도 신청 가능합니다.(명의자 신분증 사본과 대리인 신분을 지참)

 

모르면 손해보는 유용한 정보를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클릭 📌

 

함께 보면 좋은 글 💕 

"이곳에 주차하시면 과태료 130만원 뭅니다..ㅠㅠ" 아무리 급해도 주차하면 안되는 주차자리

"1인당 11만원씩 받아가세요!" 신청해야 받을 수 있는 지원금 소개

"이렇게 겨울철 난방비 30만원 아꼈어요!!!" 겨울철 난방비를 아끼는 효과적인 방법 소개

"지역별로 1인당 최대 30만원 지급합니다" 11월 부터 지원되는 지원금 소개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0